1. 『 사회와이론 』에 투고하는 논문은 사회학적 통찰력과 이론적 독창성을 지닌 미발표 논문이어야 한다.
2.원고는 A4 용지에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하며 글자 모양과 문단은 다음과 같이 한다. ᄒᆞᆫ글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글자 모양, 크기, 문단은 다음과 같이 한다. 본문의 글꼴은 ‘함초롬바탕,’ 글자크기는 10.5, 들여쓰기는 10.0, 줄간격은 160으로 한다. 그리고 각주의 글꼴은 ‘함초롬바탕,’ 글자크기는 9.0, 줄간격은 130으로 한다. 그 외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ᄒᆞᆫ글 프로그램의 기준에 준하여 작성한다.
3.원고는 제목표지, 국문요약, 논문의 주요단어 5개 정도, 본문, 참고문헌, 기타, 필자소개 그리고 영문요약(영문제목 및 필자명의 영문표기 포함), Key Words의 순서로 나누어 작성하며, 전체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매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4.원고는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불가피하다고 인정될 때만 한자를 괄호 속에 함께 쓰도록 하며, 기타의 외래어는 첫 번에 한하여 한글 원문 뒤의 괄호 속에 함께 쓴다.
5.원고의 제목표지에는 논문 제목, 필자의 이름, 소속, 연락처(e-mail, 전화번호)가 명기되어야 한다. 필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횡렬로 기재하며 제1저자를 저자명단 가운데 맨 앞에 표기하고 공동저자를 이어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국문요약 및 영문요약은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결과 및 결론이 포함되도록 단락구분 없이 작성되어야 하며, 각각 200자 원고지 5매 또는 A4용지 단면 1/2장 이내의 분량으로 작성한다. 연구 단편의 경우도 이에 준한다.
7.필자의 소개는 학위 취득 대학, 현직, 대표 저술, 관심 분야, E-mail 주소 등을 3-4줄 가량 간략히 작성한다.
8.본문에서는 논문의 제목을 본문의 첫 장에 기재하며, 필자를 알아볼 수 있게끔 하는 표시나 서술은 삼가야 한다. 세부적인 본문 서술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장 · 절 · 항 · 목의 번호는 "Ⅰ.", "1.", "1)", "(1)"의 순차로 매긴다.
2) 강조어는 ' ', 인용구는 " "로 둘러싼다.
3)전거는 저자명과 간행연도를 반드시 표기하고, 필요시 인용페이지를 덧붙여 기재한다. 같은 저술을 되풀이 인용할 때에도 그 방식은 같다. 구체적인 전거 표기의 예는 아래와 같다.
(1) 저자명은 서술의 흐름에 따라 본문에 노출시킬 수도 있고, 괄호 속에 넣어야 할 경우도 있다.
[예] …이상백(1949: 23)… [예] …라 했다(이상백, 1949: 23).
(2)외국인 저자명을 본문에 노출시킬 경우, 한글로 먼저 표기한 후 괄호 속에 원어로 표기한다. 또한 외국인 저자명을 본문에 노출 시키지 않을 경우, 번역서와 원서에 관계없이 저자명은 원어로 표기한다.
[예] "…밀스(Mills, 1956)"
(3) 2인 공동저술일 경우, 우리말 저술일 때에는 두 저자명을 중간점으로 구분하고 항상 병기한다. 2인 공동저술일 경우, 해외 저술일 때에는 두 저자명 사이에 ‘and’를 기재하고 항상 병기한다.
[예] "…(이상백 · 김채윤, 1966)" [예] "…(Miller and Oksenberg, 1981)"
(4) 3인 이상의 공동저술일 경우, 첫 번째 전거 표기에서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제시하고 그 다음부터는 “외”(et, al.)를 사용한다.
[예] "…(문승규 · 윤근섭 · 한상복, 1967)"; "…(문승규 외, 1967)" [예] "…(Cannel, Miller, and Oksenberg, 1981); …(Cannel et, al., 1981)"
(5)출간예정인 저술은 “출간예정”(forthcoming)을, 미간행물은 “미간행”(unpublished)을 명기한다.
[예] "…(김일철, 1999 출간예정)"; "…(Lee, forthcoming)" [예] "...(김연철, 미간행);" "...(Park, unpublished)"
(6) 신문, 주간지, 월간지 등에서 기명의 기사를 인용할 경우 저자, 발행지 명, 발행 년/월/일(월간지의 경우 발행 년/월, 면수)을 괄호 안에 밝힌다.
[예] "...김철수(조선일보, 2016/08/08)는.../...이다(김철수, 조선일보, 2016/08/08)." [예] "...홍길동(신동아, 2010/-4/12)는.../...이다(홍길동, 신동아, 2010/04/12: 13)."
(7) 신문, 주간지, 월간지 등에서 무기명의 기사를 인용할 경우 발행지명, 발행 년/월/일/(월간지의 경우 발행 년/월, 면수)을 괄호 안에 밝힌다.
[예] "...(조선일보, 2000/12/12)" [예] "...(신동아, 1998/05/12: 212)"
(8) 기관 저자일 경우 다른 기관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적는다.
[예] "...(통계청, 2021)." [예] "...통계청(2021)에 따르면..."
9.본문 중 문단 단위로 인용할 경우, 따옴표 없이 좌우 여백을 30으로 하고 들여쓰기 없이 작성하며, 출처는 마지막 문장의 마침표 다음에 표기한다.
[예] "...게오르그 짐멜은 시각이 보여주는 상호성을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우리는 눈으로 바로볼 때에 주지 않고는 받을 수 없다. 눈은 우리의 영혼을.....가장 완벽한 상호성은 바로 여기에서 달성된다. (짐멜, 2005: 159) 볼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무엇이든 볼 수 있다. 우리는 서로 바라봄으로 상호작용한다."
10.참고문헌의 나열은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만으로 제한한다. 먼저 한국어 문헌을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제시하고, 이어서 동양어 문헌을, 마지막으로 서양어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제시한다. 단, 중국어 및 일본어 저자명은 괄호 속에 영문 또는 한글 표기를 한다.
1) 국문저서나 간행물명은 『 』, 신문제호는 「 」, 논문제목은 “ ”로 둘러싼다.
2) 동일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연도 순으로 나열한다.
3) 동일 저자의 저술로서 같은 연도에 출간된 것이 두 편 이상일 때는 제목의 가나다 또는 알파벳순으로 나열하되, 연도표기 뒤에 a, b, c, …를 부기하여 구별하도록 한다.
4)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해야 한다.
5) 학술회의 발표문은 발표 장소와 날짜를 명기한다.
6) ‘arXiv.org’에 게시된 출판 전 공개 논문을 인용할 경우, 일반적인 인터넷 자료로 취급하여 인용한다. 온라인 공개 이후 정식으로 출판된 논문이라면 게재된 학술지를 출처로 하여 일반 학술지 논문 양식으로 인용한다.
7) 참고문헌 기재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1) 서적
이상백·김채윤. 1996. 『한국사회계층연구』. 민조사.
차종천. 1990a. “동아시아와 서구의 사회이동 비교.” 송호근 엮음. 『노동과불평등』. 나남출판. 125-149쪽.
______. 1990b. “세대간 사회이동의 지역격차.” 한국사회학회 엮음.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193-122쪽.
菅谷章(스가랴 아키라). 1988. 『日本社會政策史論』. 東京: 日本評論論社.
森田桐郞(Morita, Kirirora). 1987. “資本主義の世界的展開と國際勞力移動.” 森田桐郞 編. 『國際勞力移動』.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pp.1-54.
Amsden, Alice H. 1989.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ryman, Alan. 2016. Social Research Methos(5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Beger, Peter L. and Xinhuang Michael Xiao (eds.). 1988. In Search of an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Cannel, Charles F., Peter Miller and Louis Oksenberg. 1981. “Research on Interviewing Techniques.”
Sociological Methodology, edited by Samuel Leinhardt. San Francisco, CA: Jossy-Bass. pp.389-437.
(2) 학술지, 학위논문, 보고서
최재석. 1964. “한·일·중 동양 삼국의 동족비교.” 『한국사회학』 1(2): 88-99.
Heckman, James. 1979.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Econometrica 47(1): 153-162.
박선웅. 2015. “한국문화사회학회가 걸어온 길, 그 의의와 과제.” 한국문화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중앙대학교 (2015/10/16).
Krafcik, John F. and John Paul MacDuffie. 1989. “Explaining High Performance Manufacturing: The
International Automotive Assembly Plant Study.” Working Paper of International Motor Vehicle Program (IMVP),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김은정. 2015. “한국 독립영화의 문화적 이행: 사회운동에서 문화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Shin, Ho Hyun. 1990. “Schooling and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 Korea.”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3) 번역서
밀러, 윌리엄 이언(William Ian Miller). 2022. 『혐오의 해부』. 하홍규 옮김. 한울아카데미.
플린, 토마스(Thomas Flynn). 2004. “푸코와 시각의 붕괴.” 데이비드 마이클 레빈 엮음. 『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 정성철·백문임 옮김. 시각과 언어. 453-475쪽.
Weber, Max. 1951(1920). The Religion of China, translated by Hans H. Gerth. New York: Free Press.
(4) 인터넷 자료
이기현. 1998. “방송과 정치: 선거방송.” (최종 접속일: 년/월/일)
url
Kollock, Peter and Marc Smith. 1994. “Managing the Virtual Commons: Cooperation and Conflict in Computer
Communities.” (accessed: yyyy/mm/dd)url
(5) 일간지, 주간지의 기명 기사 및 칼럼
한선희. 2017. “‘유전자’가 아니라 ‘인간’이 의식적인 행위의 주체이다.” 「노동자연대」 223(9/21) https://wspaper.org/article/1935(최종 접속일:
년/월/일).
Lacayo, Robert. 2005. “How does ’80s Art Look Now?” Time magaine(mm/dd) url(accessed: yyyy/mm/dd).
11.표와 그림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1) 제목은 ‘<표 1> …’ 또는 ‘<그림 1> …’과 같은 형식으로 표나 그림 위에 적는다.
2) 설명주는 ‘주:’로 시작하고 출처는 ‘자료:’로 시작하여, 표나 그림의 아래에 적어 놓는다. 범례도 그림의 하단에 표시한다.
3) 표의 작성은 텍스트 방식이 아닌 워드프로세서의 표 만들기 기능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4) 표 속의 칸과 행에는 적절한 범주명을 반드시 넣어주어야 한다.
5) 표의 선은 맨 위와 맨 아래 선 및 첫 번째 열의 밑선까지만 긋도록 한다.
6) 그림은 색을 넣어 그려도 좋으나, 인쇄 시에는 흑백으로만 표현됨에 유의한다.
7) 그림에서는 x축과 y축과 곡선·면적 등으로 표현된 각 부분의 명칭을 반드시 붙여 주어야 한다.
8) 통계적 유의도는 "*p<.05", "** p<.01" , "*** p<.001" 과 같이 표기한다.
12.감사의 말이나 연구비 출처를 밝힐 필요가 있는 경우는 논문제목의 오른편 위쪽에 별표(*)를 붙인 후 첫 번째 페이지의 각주 1번 바로 위에 그 내용을 기재한다.
13.투고자의 지위 표기 규정(안)은 다음과 같다.
1) 투고자가 2명 이상일 경우 투고자의 지위는 주저자, 교신저자, 공동저자로 구분한다. 주저자는 연구 및 논문작성에 있어서 핵심적이고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저자를 의미한다. 교신저자는 투고 논문의 수정 책임자로서 주저자와 함께 제출된 논문의 심사과정에서 논문과 관련된 문의에 대한 답변 및 논문 수정과 보완을 책임진다. 단, 교신저자를 밝히지 않은 경우는 주저자를 교신저자로 인정하고, 나머지를 공동저자로 본다.
2) 투고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연구와 논문작성의 기여도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한다.
3) 투고자가 2명 이상일 경우 투고자의 표기는 한국연구재단의 구분에 따라 주저자는 공동(제1), 교신저자는 공동(교신), 공동저자는 공동(참여)로 저자명 뒤에 명기한다. 예) 김종길[공동(제1)]·박수호[공동(교신)]·김현정[공동(참여)]
14.완성된 원고는 연구윤리준수확약서(학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와 함께 전자우편(e-mail)을 이용하여 편집위원회로 보낸다.
15.접수된 원고의 게재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선정한 심사위원 2인의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16.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편집위원회는 제3의 심사위원을 위촉하거나 편집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게재 여부를 최종 결정할 권리를 갖는다.
17.게재가 확정된 논문의 저자는 소정의 게재료를 납부해야 한다. 저자 중 최소 1인이 한국이론사회학회의 연회비를 납부한 회원이어야 한다.
18. 게재된 논문의 전자저널 원문서비스제공을 위한 복사 및 전송권은 한국이론사회학회에 귀속된다.
주소: 04310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 순헌관 815호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하홍규 교수 연구실
전화: 010-9396-4107
전자우편: societyandtheory@naver.com